[리처드 파인만] “왜 자석은 서로 밀어내는가?”에 대한 답변 (한영 자막)

4,279,908
0
Published 2020-03-29
Project 스노우볼
영어를 즐겁고 유익하게

This is a non-profit project not aimed at breaking copyright laws. All material remains courtesy of their respective owners.

Edited & Translated by Project 스노우볼 © 2020.

Source:
   • Feynman: Magnets (and Why?)  FUN TO I...  

"영어 문장은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있는 것을 찾아 쓰는 것!"

영어 문장 검색 엔진, 스노우볼
www.thesnowball.co.kr/

All Comments (21)
  • @user-ku7hh8qx8g
    교수님들이 이렇게 길게 설명하면서도 자신의 설명가운데에서 길을 잃지않고, 질문자의 질문에 접근하는게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. 저는 말을 하다보면 상대방의 질문을 까먹거든요..
  • @FIVE_JH
    이 영상을 보고나면 왜 아이들이 끊임없이 "왜?" 라고 물을때 대부분의 부모들이 결국은 짜증을 내거나 화를 내는 이유를 알수있습니다.
  • @Cryst407
    질문을 할 때는 내가 무엇을 알고 있고 무엇을 모르며 정확히 어떤 부분에 대해 질문하는 건지 스스로 알고 있어야 질문자도 답변자도 명확해질 수 있는 것같아요. 그렇게 스스로 구분하며 질문할 때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게 되구요. 질문자 본인도 자신이 정확히 무엇에 대해 질문하는지 모르는 그런 막연한 질문을 던지는 사람에게 느꼈던 감정과 생각이 물리학과 함께 설명되어서 좋네요
  • @cheholim
    천재중에 저렇게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... 여러면에서 리처드 파인만은 대단한 사람이다...
  • @younglee-ty2yk
    왜라는 질문에는 쌍방이 공유하고 있는 진리의 범주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.
  • @Allin7days
    "당신은 그 이유를 이해할 정도의 지식이 없습니다"를 아주 친절하게 설명하네요. ㅋㅋ
  • @user-im9yw7qb5r
    와 설명 진짜 잘하신다 수준에 맞춰서 설명하는것도 대단한거 같은데 심지어 비유도 다 좋고 말이 끊어지거나 흐려지는 부분없이 명료하게 중요한 포인트들을 다 담은채 한번에 얘기하는거 개쩐다 그냥 ㄷㄷ
  • @camus59
    교육자들이 이런 마인드를 꼭 가져야 한다고 생각함. 왜 라는 질문을 단순히 학생에게 하는게 아니라 어떻게 보면 더 나아가서 내가 설명하는게 왜 학생들에게 이해가 되지 않지 라는 것도 이 영상 하나로 다 설명이 됨. 결국엔 교육자는 교육을 함에 있어서 학생과 자신이 서로 이해하는 것이 어느 정도 수준이고, 나는 그것에 맞추어 어떻게 더 친숙하게 설명할 수 있을지 고민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함. 그것은 지식의 수준을 떠나 정말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싶음.
  • @WKChoi98
    학교에서 정말 많은 지식을 가진 교수님이 수업 시작하실때마다 '내가 이걸 어디서부터 설명해야할지 모르겠네'하시던게 기억나네요. 그렇게 기본적인것부터 매번 설명하려하시는 교수님을 보고 수업 참 못한다고 생각했던 기억이 납니다. 항상 그 교수님은 수업시간이 너무 부족했어요. 이 현상은 이게 이렇게 움직이기 때문에 일어나는건데, 이게 왜 움직이냐면 이러이러한 원리 때문인데 이게 처음에 누구에게서부터 나온 말이냐면.. 이런식으로 이야기하시다보면 2시간이 넘는 수업에서도 매번 본 주제를 제대로 다루지도 못했거든요. 그 교수님이 다루시는 주제가 흔히 일상에서 접하는 것에 관련된 게 아니라서 듣는 사람들이 그것에 관한 지식이 전혀 없다는 것이 문제였나봅니다. 그 주제를 다루시는 다른 교수님들은 그부분을 대충 얼버무려서 이건 이런거니까 대충 아시면 됩니다, 이런건 몰라도 쓸 수 있어요 하고 넘어가셨지만 그 교수님은 그렇게 할 수 없으셨나봅니다. 다른 교수님들은 곁다리라고 넘길만한 지식에 대해서도 30분 넘게 원리부터 설명해주셨으니까요. 지금와서도 계속 생각하지만 그 교수님은 너무 친절하셨던게 아닐까 합니다. 덕분에 결과만을 외운게 아니라 원리를 알고 활용할 수 있게 되고.. 제가 가르쳐줄 때도 정확하게 설명해 줄 수 있게 된 것 같아요.
  • @alin_SnowFlower
    예전에 이 영상 다른 곳에서 보고 대단하다 느낀게 기초부터 설명을 차근차근 해오는데 그 과정에서 군더더기도 없고 딴곳으로 세지도 않고 쭉가다가 결국 그 처음 질문에 다시 도달한다는게 대단하다 느꼈다... 이과 지식에 말솜씨까지 가진 파인만좌... 뭔가 복잡한 미로의 출구를 향해 천천히 필요한 길로만 쭉가더니 한번에 도달한 느낌?
  • 번역을 너무 알기 쉽게 부드럽게 해주신 것 같아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^^ 감사합니다! 보석같은 채널이네요~
  • @멜뤼진
    이 영상을 보면 하나의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선 정말 많은 빌드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음. 보통 대화가 안 통하는 사람들은 그 빌드업을 얘기하면 왜 딴소리 하냐고 뭐라하면서 들을려고 안함. 이 영상의 질문자는 그래도 파인만씨가 빌드업하는걸 끝까지 들어줬기 때문에 이런 훌륭한 대화가 성립했다고 생각함
  • @ytkim3833
    파인만의 이야기에는 질문자와 답변자 사이에 공감대 또는 상식(common sense)이 형성되어야만 의미있는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기본적인 원리가 담겨 있다. 파인만은 그것을 확인하기 위해 끊임없이 질문하지만 질문자는 당연하다는 듯 넘기려 한다. 당연할까? 공감대가 없다면 우린 사소한 대화 하나 제대로 해내기 힘들다. 지금 우리는 얼마만큼의 공감대를 갖고 대화하는가?
  • @user-zd6eb8wm3d
    기자 : 왜 자석은 서로 끌어당기죠? ??? : 음, 우선 이걸 설명하려면 제가 LA에 있었을때의 일을 먼저 말씀드려야겠네요
  • @taemini_
    비문학 지문같음.. 1문단에 필자가 말하고자하는 요지인 핵심이 담겨있고 이후 문단에서는 개념,사례,예시들로 그걸 구체화하고 핵심에 대한 떡밥 회수하기 .. 핵심은 기억하고 세부는 정리.. 역시 교수님
  • @kyee777
    진심으로 소통 하고자 하는 사람은 이렇구나 신선한 충격이다 별 궁금하지도 않은것들 생각없이 묻고 답하는 공허함에 익숙하다보니 낯설고 좋네 타인이 뭘 원하는지에 대한 관심, 학문에 대한 탐구심, 소통하고자 하는 마음. 그런 진심이 느껴진다
  • @user-lc2rc2cg9d
    학술적 지식의 방대함도 놀랍지만 '왜'라는 진리 탐구에 대해 얼마나 깊이 성찰을 해 오셨는지 엿볼 수 있는 답변이었던 것 같습니다 역시 인류최고의 지성 중 한분이라 할만 하네요!
  • @user-mt5db7yj9s
    훌륭한 교육자는 많이 아는 사람일뿐 아니라, 그것을 어떻게 전달하고 이해시키냐를 어마어마하게 성찰하나 보군요. 훌륭한 교육자로 이름 날리는 이유가 있어
  • 왜 라는 질문도 엄청 흥미롭지만 왜 라는 질문의 무게를 이해하고 받아들여야하는 자신의 수준도 설명하시는 갓 물리학자님 ㄷㄷ...
  • 또 1년만에 다시 알고리즘이 떠서 보러왔지만 볼때마다 감탄만 나옵니다 진짜 상대를 이해시키기 위한 일렬의 과정조차 서술할 수 있고 그것이 듣는 이로 하여금 납득이 가능하게 말을 하니 매번 들을 때마다 진짜 대단하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네요